북서부 타이(Thái)족의 고유 찜기 쪼쏘이(chõ xôi)

(VOVWORLD) - 예부터 베트남 북서부 타이족은 쪼쏘이라는 찜기를 사용했다 찜기는 베트남식 약밥  전통음식을 만드는  쓰인다오늘날 타이족 사람들의 일상은 과거와 많이 달라졌지만 찜기는 여전히 쓰임을 받고 있다이들의 부엌에 들어가면 적어도 하나는  찾아볼  있다.
북서부 타이(Thái)족의 고유 찜기 쪼쏘이(chõ xôi) - ảnh 1

풍습에 따르면 북서부 타이족 사람들은 냐산(nhà sàn)이라는 고유한 가옥에서 살며 찹쌀밥을 먹고 찜기로 찐 죽순, 야채, 과일을 먹는다. 그렇기 때문에 타이족 사람들의 집에는 언제나 쪼쏘이라는 찜기와 닌동(ninh đồng)이라는 솥이 있다. 닌동에 물을 부어 끓이면 뜨거운 김이 찜기에 스며들어 안에 있는 찹쌀이나 음식을 익힌다. 타이족 사람들에게 있어서 쪼쏘이와 닌동은 매우 중요한 생활용구이기 때문에 아들이 결혼해 분가할 때면 부모가 반드시 준비해 줘야 하는 물건이다. 타이족의 고유 문화를 잘 알고 있는 선라(Sơn La)성 선라시 후아라(Hua La)면 몽(Mòng) 마을 똥 반 히어(Tòng Văn Hịa) 씨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타이족은 집을 지을 쪼쏘이와 닌동이 있어야 합니다. 아들이 결혼해 분가할 때는 부모가 쪼쏘이와 닌동을 선물로 마련해 줘야 합니다. 아들과 며느리가 집에서 찹쌀밥을 지어 먹으며 풍족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를 기원하는 것입니다. 쪼쏘이는 찹쌀밥 이외에도 찹쌀과 어울리는 야채, 죽순, 과일 등을 찌는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가정이든 쪼쏘이와 닌동은 없어서는 안되는 물건입니다.

북서부 타이(Thái)족의 고유 찜기 쪼쏘이(chõ xôi) - ảnh 2

옛날에는 목재에 구멍을 뚫어 얇고 부드러운 찜기를 만들었다. 찜기는 밑바닥이 윗부분보다 작은 둥근 구조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대나무로 대신하고 있다. 대나무로 만든 찜기가 더욱 친환경적이고 간편하며 가격도 기존의 목재 찜기에 비해 저렴한 편이기 때문이다.

똥 반 히어 씨에 따르면 대나무 찜기를 만들려면 길고 곧은 다 자란 대나무를 골라야 한다. 흰개미가 없고 끊어진 부분도 없는 대나무여야 한다. 대나무를 벤 후에 가늘게 잘라 두 겹으로 짠다. 겉은 작은 대나무줄로 보기 좋게 튼튼하게 짜고, 속은 부드러운 더 큰 대나무줄로 부드럽게 짠다. 그래야 찹쌀밥을 찔 때 쌀이 찜기에 들러붙지 않는다. 특히 보온을 위해 두 겹 사이에 천을 넣는다. 쪼쏘이를 만드는 데 보통 이틀이나 사흘이 걸린다. 똥 반 히어 씨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목재 찜기는 만들기가 까다로워 남성들만 만들 있었습니다. 하이모이(hay môi) 부르는 대나무 찜기는 대나무통에 구멍을 뚫어 만드는 것으로 주로 죽순, 채소, 과일 등을 씁니다. 목재 찜기는 장기간 이용하지 않으면 갈라져 버리기 때문에 요즘 사람들은 대나무 찜기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재료를 구하기도 쉽고 만들기도 쉽습니다. 나무를 필요도 없습니다.

북서부 타이(Thái)족의 고유 찜기 쪼쏘이(chõ xôi) - ảnh 3

쪼쏘이를 쓸 때는 받침대를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야 찜기 안의 쌀이 솥으로 떨어지지 않고, 김도 잘 올라온다. 찹쌀밥 등 음식을 만들 때는 솥에 7~10cm 가량 물을 채운 후 쪼쏘이를 위에 얹어 끓이면 된다. 선라시 후아라면 몽 마을에서 타이족 고유 음식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똥 티 비엔(Tòng Thị Biên) 씨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민속 요리 식당이다보니 찹쌀밥을 만들기 위한 쪼쏘이와 솥이 없으면 안됩니다. 모든 손님이 기본적으로 찹쌀밥을 주문합니다. 따뜻한 찹쌀밥, 구운 찹쌀밥, 튀긴 찹쌀밥 다양합니다. 쌀은 넵딴(nếp tan) 종이어야 부드럽고 향기로운 찹쌀밥을 만들 있습니다. 

현재 대나무 찜기는 산간지역 재래시장이나 소수민족 죽공예품 가게에서 판매되고 있다. 하나에 15만~20만 동 정도이다. 목재 찜기는 크기에 따라 30만~50만 동이다. 목재 찜기와 대나무 찜기는 산간지역 소수민족 사람들의 문화와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피드백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