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VWORLD) - 2025년은 베트남에 특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해로, 새로운 단계의 계획을 시작하는 동시에 국가가 새로운 시대, 즉 민족의 발전과 도약을 향한 시대를 맞이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2024년에 베트남이 이룬 성과와 제도‧사고 개혁이라는 강력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2025년에는 더욱 가속화하고, 나아가 미래 도약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마련했다.
전 세계가 발전 기회를 잡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는 글로벌화 시대에 베트남은 중요한 기로에 놓여 있다. 2045년까지 고소득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베트남은 지금보다 더 빠르게 성장해야 한다. 그리고 2025년은 다음 단계로의 도약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해이다.
가속화와 도약의 해
“경제 사회 발전을 위한 주요 정책들은 이미 충분히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제는 실행에 옮겨야 할 때입니다. 공동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여,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자세로 창조혁신과 도약을 이루어 내야 합니다.”
“올해 목표와 지표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특히 이번 임기 안에 반드시 달성해야 할 목표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미 잘 달성하고 있는 지표는 더욱 발전시키고, 미흡한 지표는 더 노력하여 반드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당이 지도하고, 정부가 일치하며, 국회가 지지하고, 국민이 동의하며, 조국이 기대하는 만큼 우리는 반드시 행동으로 보여줘야 합니다. 뒤로 물러서지 않고, 일을 시작하면 반드시 끝을 맺어야 합니다.”
2025년 새해가 밝았을 때부터 또 럼 당 서기장과 팜 민 찐 총리의 새해 메시지들이 혁신을 향한 열정, 과감한 조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국가 경쟁력 강화 등에 불을 지폈다. ‘행동하는 정부’의 모범적인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자세는 밤낮없이 이어진 회의를 통해 구체적이고 과감한 결정을 이끌어내며 전 정치 시스템에 활력을 불어넣어 베트남을 더욱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다.
2025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8% 달성 및 2026~2030년 단계에 두 자릿수 성장의 발판 마련을 위해 정부는 올해 목표 달성을 위한 3대 전략적 돌파구, 6대 중점 과제, 12개 주요 해결책, 185개 세부 과제를 제시했다. 그중 정부는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제도를 완비하는 동시에 빠르고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명확한 목표 아래 중점 과제와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베트남 발전 전망을 낙관하는 국제사회
마리암 셔먼(Mariam Sherman) 세계은행(WB) 베트남 국가 총괄
(사진: tapchitaichinh.vn) |
베트남의 강한 의지와 2024년 달성한 성과에 힘입어 국제기구들은 베트남의 미래 경제 전망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베트남의 기업 환경 지수, 혁신지수(GII), 인간개발지수(HDI) 등 주요 지표들이 글로벌 순위에서 상승하며, 베트남이 글로벌 변동 속에서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잠재력을 입증했다. 마리암 셔먼(Mariam Sherman) 세계은행(WB) 베트남 국가 총괄은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베트남의 눈부신 경제 성장은 불가능해 보였던 일이 현실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이제 베트남은 고부가가치 생산과 서비스로 전환을 통해 글로벌 가치 사슬 참여를 고도화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고속 경제 성장을 촉진하며, 2045년 고소득 국가라는 비전을 향해 나아가야 할 중요한 시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한편 최근 발표된 베트남 유럽상공회의소(EuroCham, 유로참)의 최신 기업신뢰지수(BCI)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지수가 2023~2024년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노미니크 마이클(Dominik Meichle) 주베트남 유럽상공회의소 소장은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베트남은 유럽 기업들에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안정적인 투자 환경과 교육을 잘 받은 질 높은 노동력, 그리고 열린 자세로 소통하는 정부를 경험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베트남의 성장은 다자간 협력 체제, 특히 아세안 지역 협력에서 유럽 투자자들에게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줄리엔 게리어(Julien Guerrier) 주베트남 EU 대표부 대사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베트남은 아세안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베트남은 저희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더욱 강력한 존재감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을 추진하는 데 있어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견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2024년 거둔 성과와 도이머이(đổi mới, 쇄신) 정책 이행 약 40년에 거둔 성과를 발판 삼아 베트남은 새로운 시대, 즉 부유하고 문명화되고 번영한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굳건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