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과 발전의 여정 속 자부심

(VOVWORLD) - 전당, 전국민의 노력 덕분으로 1986년부터 35년이 넘는 시간동안 개혁을 통해 베트남은 경제, 정치, 외교, 국방안보, 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나라가 더욱 부강해지면서 베트남이 선택한 개혁의 길을 계속해서 걸어갈 수 있는 확고한 전제가 되었다.

개혁과 발전의 여정 속 자부심 - ảnh 135년의 혁신 이후 베트남은 새로운 힘을 얻게 되었다 [사진: VGP]

2022년 4월 14일, 주 베트남 세계은행은 베트남에 대해 이렇게 평가했다. ‘베트남은 성공적인 발전 스토리를 써냈다. 1986년부터 경제개혁과 유리한 세계적 추세에 따라 베트남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단 한 세대 만에 중저소득 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다.’

베트남의 새로운

네, 35년의 혁신 이후 베트남은 새로운 힘을 얻게 되었습니다.

베트남은 가난하고 낙후된 나라에서 세계 최대 경제규모 TOP 40, 2021년 수출입 약 6,700억 달러로 무역 분야에서 세계 TOP 20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GDP는 약 3,800달러로 1988년 86달러에 비해 44배 증가했다. 폐쇄된 국가, 금수국가로 여겨지던 베트남은 오늘날 189개의 국가 및 지역과 외교관계를 수립했고, 그중 세계에서 강력한 위치에 있는 30개국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확립했다. 많은 국가들은 대외정책에서 베트남을 우선시하고 있다. 베트남 공산당은 111개국에서 약 250개의 정당과 관계를 맺었으며, 베트남 국회는 140개국 이상의 국회와 협력을, 또 각종 단체 및 인민단체는 수천 개 국가의 단체 및 비정부기구와 관계를 맺고 있다.

동시에 베트남은 220개의 파트너들과 무역관계를, 500개 이상의 국제기구와 협력관계를 맺었고, 상호 무역협정 90개와 투자 촉진 및 보호 협정 60개, 17개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했다. 또한 베트남은 80개 이상의 다자간 국제 조약에 가입했으며 70개 이상의 단체, 지역 및 글로벌 다자 포럼의 회원이 되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베트남이 UN 안전보장이사회에 비상임이사국(2차례), 유네스코, 인권위원회, 국제상거래법위원회(UNCITRAL) 등 여러 차례 국제 기구에서 선발되었고, APEC, ASEAN, ASEM, Francophonie 등 국제회의를 여러 번 개최한 경험이 있다. 더욱이 베트남은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에 적극적이고 참여하여 국제 사회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최근 안토니우 구테흐스(Antonio Guterres) UN사무총장은 국제평화유지활동 및 기후변화 대응을 비롯한 국제 문제에 대해 베트남의 참여를 높이 평가했다.

팜 빈 민 상임부총리는 지난 35년의 발전 및 통합 과정에서 베트남의 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베트남은 역사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포괄적이고 강력하게 발전하면서 힘을 강화하고 국제사회에서 신뢰를 높임으로써 발전에 중요한 전제와 위상을 만들어 냈습니다. 경제 규모와 능력, 국민 삶의 질이 향상되고, 정치적 사회적 안정은 당의 주도 하에 국민의 결속력으로 보장되고 있습니다. 또한 강력한 국방안보를 이루고 있으며, 국제사회와 모든 면에서 통합을 으루며 국제 공동체에서 적극적이고 책임이 있는 구성원이 되었습니다.

개혁과 발전의 여정 속 자부심 - ảnh 2팜 빈 민 상임부총리 [사진: nld.com.vn]

밝은 미래

개혁의 과정에서 거둔 큰 성과로 응우옌 푸 쫑 서기장은 베트남이 오늘날과 같은 힘과 잠재력, 신뢰를 가져본 적이 없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동시에 여러 국제 기구들은 베트남이 앞으로 강력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확고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했다. 세계은행(WB)은 베트남이 동아시아 태평양에서 가장 활발한 국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또한 국제통화기금 및 세계은행은 튼튼한 기반을 통해  베트남 경제 성장 가능성이 높고, 2022년부터는 6~7% 수준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기적적인 성장률을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 HIS Markit은 베트남 GDP가 2025년 4,330억 달러, 2030년 6,870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베트남 1인당 GDP는 2025년 4,280달러, 2030년 6,600달러로 증가할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최근 미국 블룸버그(Bloomberg)는 ‘베트남이 아시아에서 다음 창업 중심지가 될 수 있다’라고 전망했다.

베트남의 밝은 미래에 대한 신뢰높은 국제기구들의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분석과 평가는 개혁의 방향과 정신이  올바른 전략이라는 것을 재확인해준 것 뿐만 아니라 베트남이 선택한 사회주의의 노선에 계속해서  당당하게 걸어갈 수 있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앞으로 2025년까지 평균 소득을 높이고 현대적 산업을 갖춘 개발도상국으로 나아가고, 2030년 높은 평균 소득을 갖추면서 2045년까지 고소득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제13차 당 전당대회 의결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목표들을 실현해 나가야 한다.

피드백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