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VWORLD) - 항카이 거리는 약 160m의 짧은 거리이지만 하노이 중심부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곳은 호안끼엠 호수 바로 옆에 위치한 구시가지의 일부이며, 짱띠엔(Tràng Tiền)동에 속해 있습니다. 항카이 거리는 짱띠엔 – 바찌에우(Bà Triệu) 교차로부터 항바이(Hàng Bài) 거리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경민: 활기찬 에너지가 가득하고, 다채로운 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곳, 베트남! 베트남의 거리마다 깃들어 있는 역사와 문화 이야기를 전해드리는 시간, ‘베트남 거리거리 알아보기’ 코너입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과 이 시간 함께할 베트남 역사와 문화에 푹 빠진 한국인, 염경민입니다.
응옥: 네 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러분과 경민 씨의 궁금증을 시원하게 풀어드릴 ‘설명봇’, 베트남 MZ 기자 홍응옥입니다.
경민: 네, 청취자 여러분, '베트남 거리거리 알아보기' 코너에서 다시 만나뵙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이번 방송에서는 어떤 거리에 대해 알아볼까요, 홍응옥 씨?
홍응옥: 오늘 방송에서는 베트남 수도 하노이의 호안끼엠(Hoàn Kiếm)군에 있는 거리에 대한 여정을 계속 이어갑니다. 구체적으로 호안끼엠 호수 바로 옆에 있는 거리를 알아볼 텐데요. 호안끼엠 보행자 거리를 방문한 적이 있다면 한 번쯤은 이 거리를 방문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외국인들은 이 거리의 이름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하노이 호안끼엠군에 있는 항카이(Hàng Khay) 거리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경민: 네 항카이 거리는 약 160m의 짧은 거리이지만 하노이 중심부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곳은 호안끼엠 호수 바로 옆에 위치한 구시가지의 일부이며, 짱띠엔(Tràng Tiền)동에 속해 있습니다. 항카이 거리는 짱띠엔 – 바찌에우(Bà Triệu) 교차로부터 항바이(Hàng Bài) 거리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 짱띠엔 플라자 쇼핑몰과 같은 주요 랜드마크와도 가까운 거리에 있습니다.
홍응옥: 먼저 항카이 거리의 이름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항카이는 옛날 탕롱(Thăng Long, 현재의 하노이)의 대표적인 수공예 거리 중 하나였는데요. 이곳의 이름은 과거 자개 상감 목공예품을 전문적으로 만들고 판매했던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특히 '카이(khay)'라고 불리는 쟁반이나, 톱, 작은 끌, 줄, 갈아 놓은 자개 조각, 옻칠 등 자개 장인들이 사용하는 도구들을 나무 ‘카이’ 목쟁반에 담아 보관했던 데서 거리 이름이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 이전, 항카이 거리에는 자개로 상감된 나무로 만든 찬장, 쟁반, 평상, 의자, 탁자 등을 전문적으로 제작하고 판매하는 상점들이 즐비했습니다. 이 거리에는 한때 상감 기술의 시조를 모시는 사당도 있었는데, 전설에 따르면 18세기 후반 레 까인 흥(Lê Cảnh Hưng, 黎顯宗, 레 현종) 시대에 살았던 타인호아성 투언응이어(Thuận Nghĩa) 마을 출신의 응우옌 낌(Nguyễn Kim)이라는 인물이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민간 전설에 따르면 레 현종 왕 시대(1740-1786)에 응우옌 낌이라는 어부가 물고기 잡이를 하던 중 빛나는 색깔의 조개껍질 조각을 발견하고 이를 집으로 가져가 나무에 붙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는 쭈옌미(Chuyên Mỹ, 하떠이(Hà Tây)성 푸쑤옌(Phú Xuyên)현에 속함) 지역으로 가서 마을 사람들에게 상감 기술을 전수했고, 그 후 상감 기술이 탕롱을 비롯한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1884년부터 1890년 사이, 하노이의 항카이 거리는 상감 장인들의 상점으로 가득 차 있었고, 그들은 묵묵히, 끊임없이 일하며 프랑스 군인들이 기념품으로 가져갈 작품들을 만들었습니다.
고급 공예품으로 알려진 자개는 주로 사당이나 사찰을 위한 현판과 대련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자개 장인들은 나전 칠기 궤짝, 다기 세트, 병풍, 파이프, 상자, 담뱃갑과 같은 특별한 용도의 물건에도 자개를 상감했습니다. 자개 상감 무늬는 주로 과거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되었고, 상류층이나 사회의 고위 인사들의 주문에 따라 선택되었습니다.
경민: 항카이 거리는 레 왕조 시대에 흐우봉(Hữu Vọng) 호수에서 떠이롱(Tây Long) 성문으로 이어지는 지역이었습니다. 1832년 응우옌 왕조 민망(Minh Mạng, 明命) 황제 시대에는 하노이성 토쓰엉(Thọ Xương)현 티벗(Thị Vật)마을과 토목(Tô Mộc) 마을에 속해 있었습니다. 1883년 프랑스 해군 중위 로네(Launay)가 그린 지도에는 ‘Rue des Incrusteurs’, 즉 ‘상감 세공인의 거리’라는 이름으로 등장했습니다. 당시에는 돈투이(Đồn Thủy)에서 끄어남(Cửa Nam)까지 곧게 뻗어 있었는데요. 이후 보도 확장 공사를 거쳐 1886년 11월 20일, 폴 베르(Paul Bert) 거리라는 공식 명칭을 얻게 되었습니다. 지금의 하노이 오페라하우스에서 자롱(Gia Long) 거리 초입까지 이어지는 길이었습니다.
프랑스 기업인들이 호안끼엠 호수 주변에 관공서와 상점을 앞다투어 건설하면서, 폴 베르 거리는 1945년 이전 하노이에서 가장 고급스럽고 ‘서구적인’ 거리로 변모했습니다. 이로 인해 베트남 사람들의 자개 공예 가게들은 점차 사라지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게 되었고, 결국 이곳에는 자개 공예품을 만들고 파는 사람들이 극소수만 남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하노이에는 자개 공예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고 생산하는 다른 거리들이 생겨났습니다. 1945년 7월, 쩐 반 라이(Trần Văn Lai) 의사가 시장으로 취임하면서 폴 베르 거리는 둘로 나누어졌고, 현재의 짱띠엔 거리와 항카이 거리로 개명되었습니다.
홍응옥: 오늘날 항카이 거리에서 쟁반을 만드는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거리 이름은 그대로 남아 하노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습니다. 이 거리를 방문할 때 놓칠 수 없는 경험 중 하나는 바로 다채로운 먹거리를 즐기는 것입니다. 항카이 거리에는 다양한 연령대의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는 수많은 카페, 빵집, 레스토랑이 즐비합니다. 맥도날드(McDonald’s)와 같은 패스트푸드점부터 포케 하노이(Poke Hanoi)와 같은 건강식 레스토랑까지, 선택의 폭이 아주 넓습니다. 베트남 전통 음식을 맛보고 싶다면 레이크 뷰 1983(Lake view 1983)에 들러 전통 베트남식을 즐기면서 호안끼엠 호숫가에서 하노이 사람들의 활기찬 일상을 감상해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이곳에는 한국에서 유명 브랜드인 브레드 팩토리(Bread Factory)와 공차(Gongcha)도 있으니 방문하셔서 맛있는 음식과 함께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기에 좋습니다.
경민: 최근 2년 사이 베트남과 한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트렌드가 있는데요, 바로 친구나 연인과 함께 예쁜 순간을 추억으로 남길 수 있는 셀프 포토 부스입니다. 하노이 항카이 거리에는 셀프 포토 부스 매장이 두 곳이나 있다고 하니, 하노이에 오시면 꼭 한번 들러 행복하고 즐거운 추억을 남겨보세요.
홍응옥: 벌써 '베트남 거리거리 알아보기' 코너를 마무리할 시간이네요. 오늘 전해드린 정보가 여러분이 아름다운 베트남을 더 깊이 이해하고 사랑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베트남을 알아가는 여정에서 특정 지명이나 거리 이름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저희 VOV5 한국어 프로그램의 웹사이트나 팬페이지에 댓글을 남겨 주세요. 또는 이메일 vov5.korea@gmail.com으로 보내주셔도 좋습니다.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결해 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경민: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 기다리겠습니다. 이제 다음 코너 시간이 다가왔네요 다음에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여러분, 안녕히 계세요!